잡담

[정보] 박전연(박사 전문연구요원) & 석전연(석사 전문연구요원)에 대한 정보글

진정한남자준희 2022. 7. 28. 11:13
728x90

참고한 글 출처: https://phdkim.net/job/article/43/

참고한 글 출처: https://namu.wiki/w/%EC%A0%84%EB%AC%B8%EC%97%B0%EA%B5%AC%EC%9A%94%EC%9B%90

 

2020년 전기 박사전문연구요원 선발결과&대학교별 합격자 현황

2020년 전기 박사 전문연구요원 선발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한 …

phdkim.net

Author: Joonhee Lim
Date: 2022/07/28


오늘은 논문 리뷰와 같은 글이 아니라 요즘들어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전문연구요원에 관한 정보를 간단하게 블로그에 가져와보려고 한다.


0. 전문연구요원이란?

대한민국의 병역의무 이행방법 중 하나. 줄여서 '전문연'

이는 크게 세 가지 경우로 구분된다.

  1. 석사 학위 이상 취득(수료는 불인정)하고 편입 후부터 지정 업체에서 3년간 근무하는 경우
  2. 신검 4급일 때 이공계열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중소기업 부설연구기관에서 편입 후 3년간 근무하는 경우
  3. 이공계열 박사 과정에 재학하면서 편입 후 3년 이상 수학하는 경우
하지만 대부분 2번 경우는 채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석전연, 박전연으로 나누어서 부른다. 그러나 박사를 졸업하고 기업에 취직하여 근무하는 경우도 1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용어가 정확하게 두 가지를 구분할 수 있는 용어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문연구요원을 회사에서 막부리고 일은 많이 하는데 월급은 적게 받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이는 과장된 이야기라고 한다.(정말?)

1. 박사 전문연구요원

박사 전문연구요원 TO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태..

 

박사 전문연구요원 TO에 대해서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현역

4대 과기원(KAIST, UNIST, GIST, DGIST) 대학원생이 아닌 신검 1~3급까지의 건장한 남성들의 경우이다.

 

최소 조건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 TEPS 268점

 

이는 최소 조건일 뿐이며 이를 넘겼을 시

학점과 TEPS 점수로 승부를 벌이게 된다.

하지만 대학원 학점은 절대평가이기에 변별력이 부족하며 이 때문에 그저 TEPS 점수로 승부를 벌이게 되는 것이다.

 

뉴 텝스 기준 박사 전문연구요원 합격자 평균 점수 

수도권 456.8점(토익 960)

비수도권 374.28점

 

또한 합격자 분포는 다음과 같다.

김박사넷에서 가져온 이미지
김박사넷에서 가져온 이미지

다음과 같이

수도권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

비수도권은 POSTECH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왜 그런지는 참 궁금하다.)

 

박사 전문연구요원으로 편입되면 박사 3년차부터 병역이 시작되며 3년간 복무하면 군대가 해결된다.

 

B. 보충역

현역은 위의 글처럼 높은 텝스 성적과 좋은 학점이 있어야 경쟁을 뚫고 전문연구요원으로 선발될 수 있는 반면, 보충역은 그냥 신청만 하면 무조건 붙는다. 보충역의 경우 선발인원 외로 뽑히는 것이기 때문에 보충역이 몇 명이 지원하든 간에 현역 선발 인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니까, 4급 판정을 받았다면 전문연은 편입 자격만 갖추었다면 신청 시 프리패스다.

 

C. 과기원(KAIST, UNIST, GIST, DGIST)

과기원에 재학중인 대학원생들은 각 과학기술원에서 할당 받은 TO를 배정받을 수 있다.(보충역은 이 또한 프리패스)

일반적으로 카이스트는 전문연구요원 편입 신청자 모두에게 TO를 배정했었지만 최근 TO가 모자라게 되자 1) 석사 학점 2) 학사 학점 3) 연구 실적 등으로 우선적으로 배분하고 있다.(그럼에도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배정받는다고 한다.)

 

UNIST, GIST, DGIST 또한 일반적인 박사 전문연구요원 편입생들보다 수월하게 편입할 수 있다고 한다.(TO 최고)

 

또한 비과기원 박전연과 다르게 박사 2년차부터 병역이 시작되며 3년간 복무하면 군대가 해결된다.


2. 석사 전문연구요원

석사학위를 받은 뒤, 회사 취업하듯이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석사 학위취득자이기 때문에 일반 근로자보다는 높은 스펙을 요구하는 편이며 공학, IT 계열이 상당히 많은 TO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봉급은 일반적으로 석사졸업생만큼 받는다고 확인하였는데 정확히는 모르겠다.(애초에 처음 석전연으로 들어가는 회사는 대기업이 아닌 중소, 중견기업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봉급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또한, 대기업에서는 전문연구요원 TO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기업 석전연을 위해서는 1) 보충역 2) TO를 어딘가에서 따온 경력자(중소기업에서 1년반 재직 후 이직)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전문연구요원 파이팅!

반응형